GitHub README에 기술 블로그 최근 글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키기
·
개발/Javascript
🚨맨날 하는 수동 업데이트가 귀찮았다.나는 깃허브 README에 내가 최근에 작성한 블로그 글을 띄워둔다. 아무래도 블로그를 꾸준히 작성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런 것도 있고, 언젠가 나의 장점이 되었으면 하는 다짐을 여러 곳에서 보고자 띄워두고 있다. 최근 작성한 5개의 글을 띄워두고 있는데 `매우 불편한 점`이 한 가지 있었다. 바로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해야 한다는 문제였다.매번 글을 쓸 때마다 깃허브에 찾아가서 일일이 링크를 가져다가 최신화하는 과정이 필요했고, 한 두 번이야 괜찮겠다 싶었는데, 이러한 일이 매일 발생한다면 매우 귀찮을 것 같았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내가 개발자인 장점을 살려서 자동화 스크립트를 만들었었다. 이번에도 비슷하게 GitHub Actions를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내 블로..
[프론트엔드 데브코스 월간 회고] 5,6차 단위기간(24.01.19 ~ 24.03.25) 프로젝트 kiwing 회고 (2/2)
·
개발/회고록
프론트엔드 데브코스 5,6차 단위 기간 회고, kiwing 회고 (2/2)  [프론트엔드 데브코스 월간 회고] 5,6차 단위기간(24.01.19 ~ 24.03.25) 프로젝트 kiwing 회고 (1/2)프론트엔드 데브코스 5,6차 단위 기간 회고, kiwing 회고 (1/2) 뒤늦게 써보는 월간회고이다. 마지막 프로젝트 기간에는 월간 회고가 필수가 아니지만, 회고의 중요성을 깨달았기에 시간을 내서 따shqpdltm.tistory.com1편에 이어서 작성하는 5,6차 단위기간 회고 2/2 편이다. 이번에는 기술적인 부분이랑 마무리를 언급하고 회고를 마쳐보려고 한다. ⚙️왜 CSR 기반으로 한 React를 사용했을까? (기술스택 의사결정)우리는 왜 기술스택을 정하면서 많은 고민을 했을까? 지금부터 우리 팀이..
자바스크립트 console.log()에 대한 고찰
·
개발/Javascript
💭console.log()는 왜 느릴까? 에 대한 궁금증 시작시간초과 나는 console.log(), 왜 느릴까?오늘은 지금까지 외웠던 큐를 직접 구현해 보며 코딩테스트를 풀이하였다. 문제는 백준 10845번이었고 분명 맞는 풀이라고 생각하였는데, 시간초과가 발생하였다.코테를 풀며 가장 유명한 대사인 `맞왜틀?(맞는데 왜 틀림?)`을 생각하며 코드를 점검하고 내가 놓친 부분이 있는지 확인했지만,  어디가 틀렸는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그러던 중 질의응답에서 console.log()가 느리기에 시간초과가 발생한다는 질의응답 글을 발견했다. 이상했다. 왜 console.log()가 느릴까?의아했지만, 일단 해당 답변을 참고하여 기존에 반복문을 순회하며 console.log()로 바로 결과를 출력하는 코드 ..
백준 JS 코테 파일을 자동 생성 스크립트로 만들어보자!
·
개발/Javascript
🙋‍♂️Why?최근에 코딩테스트를 본격적으로 풀고있다. 하루에 한 문제씩 팀원들과 풀기도 하고 별개로 풀기도 한다.여러 풀이 사이트 중 가장 문제의 수가 많은 백준에서 문제를 풀고 있는데, 아쉽게도 백준에서 직접 문제풀이를 하기에는 어렵고 따로 로컬 PC에서 문제 이름에 해당하는 JS파일을 생성해서 코딩테스트를 풀이하고 있다. ex) B_1234.js 이때 내가 해야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았다.1. 문제를 탐색한다.2. 탐색한 문제를 기반으로 로컬 파일을 만든다.3. 파일을 만든 뒤, 기본 입출력을 입력 혹은 복붙한다.4. 풀이를 진행한다.크게 어렵거나 복잡함은 없었다. 약간의 귀찮음만 있었지,,, 그런데...이제는 파일이 너무나도 많아지기 시작했다. 뭔가 묘수가 필요했다. 깃허브를 보면 10000번..
홍보의 신 | 김선태
·
일상/독서록
블로그 세 번째 독후감이자 24년 첫 독후감이다. 나이만큼 읽기로 했는데 올 초에는 프로젝트 2개를 연달아 진행하느라 바빴고 드디어 여유가 생기기 시작했다. 중간중간 여러 책을 읽긴 했는데 완독을 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독후감을 작성하지 못하기도 했고 완독 했더라도 바빠서 포스팅 작성이 쉽지 않았을지도..? 여담은 이쯤으로 하고 밤 12시에 대출해서 너무 재미있어서 새벽 2시에 완독 했던, 2시간 만에 읽은 홍보의 신 독후감을 써보려고 한다. 인기 많을 줄 알았고, 실제로 인기가 많아서 전자도서관에서의 대출이 어려웠는데 마침 딱 대출 여유분이 생겨서 대출할 수 있었다. 이 책을 대출한 이유는 단순했다. 유명한데 궁금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튜브에서 한 번쯤 `충주`(청주 아님) 시 유튜브가 알고리..
내 웹사이트에서 사용자는 어떤 행동을 할까? feat. hotjar🔥
·
개발/프로젝트
안녕하세요. 오늘도 프론트엔드 분야에서 정진하고 있는 FE 개발자 지망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프로젝트에서 적용했던, 그리고 개인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웹 페이지 동적 분석 도구 hotjar를 알아보고 적용하고 활용한 사례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WHY?지난 kiwing 프로젝트에서 저희 팀은 hotjar를 도입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hotjar를 도입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저희가 hotjar를 도입한 가장 큰 이유는 시나리오의 일치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저희는 개발자들의 기능적인 챌린지보다는 실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목표가 있었는데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가설 검증이 필요했습니다. 우리가 세웠던 시나리오 가..
[프론트엔드 데브코스 월간 회고] 5,6차 단위기간(24.01.19 ~ 24.03.25) 프로젝트 kiwing 회고 (1/2)
·
개발/회고록
프론트엔드 데브코스 5,6차 단위 기간 회고, kiwing 회고 (1/2) 뒤늦게 써보는 월간회고이다. 마지막 프로젝트 기간에는 월간 회고가 필수가 아니지만, 회고의 중요성을 깨달았기에 시간을 내서 따로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이번에는 조금 더 편하게, 조금 더 잔잔하게 글을 풀어내고 싶다.프로젝트 기간에는 TIL도 그렇고 WIL도 그렇고 작성이 매우 어렵다. 사실 임시글로는 이미 수십 개가 가득 찬 상태이다. 즉 정리만 하고 내용만 떠올려서 올리면 된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론적으로 글을 완성하고 업로드하지 못하는 이유는 너무 바쁘다이다. 정말 너무너무 바빴다. 눈을 뜨면서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눈을 감는 그 순간까지 프로젝트를 생각을 했다. 사실 어떻게 보면 스트레스이긴 ..
프로젝트에서 팀장 역할을 맡으며 했던 고민들
·
개발/회고록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looky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팀장의 역할을 맡아서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겪은 협업에 대한 고민을 얘기해보려고 한다. 지난날들과 다르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팀장이라는 역할을 맡아서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았다. 비록 회사는 아니지만 어떻게 보면 사회에서는 첫 팀장의 직책을 맡았던 경험이고 그런 자리와 환경에 있으니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끝까지 여러 걱정들이 많았었다. 프로젝트도 성공적으로 끝났고, 팀원들에 대한 나의 평가도 좋아서 기분이 좋지만 글을 쓰면서 다시 정리하고 남겨보고 복기하며 추후 보완해야 할 점을 적어보고자 한다.가장 처음으로 고민했던 것은 바로 일정관리이다. 프론트엔드 구성원들로만 이루어진 우리 팀의 경우 PM의 역할도 내가 병행해야 했다. PM의 역할에는 여러 역할..